|
|
|
||
![]() 한옥은 일본의 전통건축과 달리 단층구조의 집들이 많습니다. 전통방식으로 2층 한옥을 구현하기에 비용은 적지 않기 때문에 도담한옥은 효율적인 공간 창출을 위해 넓은 다락방을 가진 한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. ![]() 더글라스목으로 지어진 위 예제 사진은 오량집이지만 기존의 평범한 구조에서 다락방을 넓게 쓰기 위해 중도리를 보 바로 위에 배치하고 단연의 물매를 낮게 잡은 후 장연을 덧 서까래로 시공하고 대공을 아주 높게 시공하는 방식인데요 굉장히 넓은 다락방을 형성합니다. 전체적인 평균 층고를 1.5미터 이하로 맞춰 건축물 면적에 포함이 안되기 때문에 건축주님들이 원하는 최적인 다락방을 형성할 수 있고 보시다시피 칸과 칸 사이에 여러가지 부재들이 밖으로 빠져 이동 시 걸리는 부재들이 없어 굉장히 효율적입니다. ![]() 좌우 층고가 낮아지는 부분은 사진과 같이 이불장, 혹은 의자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. 대공을 노출하여 넓게 쓸 수 있고 벽체를 형성하여 방을 만들수도 있습니다. 각 서까래 사이 사이에 단열 처리를 하여 겨울에도 따듯한 다락방을 만들며 바닥에는 별도의 온돌난방을 하지 않았습니다. 그럼에도 단열처리에 신경써서 겨울에도 춥지 않은 다락방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. ![]() 다락방을 올라오는 계단 모습니다. 안전을 위해 좌우 모두 벽이 형성되어있고 기억자로 꺽이는 완만한 경사의 계단입니다. 1층 25평 2층은 좌우 높이가 낮아 약 12~13평의 공간이 나오지만 좌우로 수납장을 활용한다느 면에서 거의 20평가까이 활용이 된다는 얘기입니다. 즉, 2층 한옥이 아니면서 거의 2층한옥에 가까운 활용도를 보이는 것이죠 ![]() 2층을 올리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게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아마도 가장 큰 장점이 아닐런지요!! 또한 아이들이 있다면 다락방을 굉장히 좋은 놀이터가 됩니다. 그리고 수면을 취하기에도 다락방은 숙면을 취하기 아주 좋은 공간이 됩니다. 한옥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이러한 복층 구조의 한옥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. |
![]() | ![]() |
|
|
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