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1. 형태별 종류 ① 평기와 : 기와지붕의 면을 이루는 기와이다. 암기와, 수기와가 있다. ② 막새기와 : 지붕의 처마 끝에 붙이는 치장용 기와로 암막새, 수막새가 대표적이며, 이외에 귀막새, 초가리기와 (면막기용: 서까래초가리, 부연초가리, 추녀초가리, 사래초가리) 등이 있다. ③ 장식기와 : 용두, 취두, 치미, 귀면, 잡상, 망와(곱새기와), 머거불, 절병통 등 ④ 이형기와 : 모서리기와, 어새, 보습장, 착고 ![]() ![]() 2. 규격별 종류 ① 특대와, 대와, 중와, 소와, 특소와, 특수기와 ② 한옥(주택)에서는 일반적으로 중와를 사용한다. [표 :: 기와의 규격] ※허용오차 : 길이 및 나비 ±10㎜, 두께 ±3㎜
3. 품질 ① 기와는 K?S 품질인증업체가 제작한 기와를 사용하며 반드시 기와 뒷면에 제조업소명과 K·S표시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사용한다. ② 균열, 모래구멍, 비틀림, 울퉁불퉁함이 없고, 1,000~1,100°c이상으로 구운 것을 사용한다. ③ 휨강도는 280㎏f/㎠ 이상으로 하고, 흡수율은 9% 이하로 한다. ④ 표면 및 상·하 마구리면은 평활해야 하며, 옆면은 심한 요철이 없고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. |
![]() | ![]() |

|
![]() 좋은 정보가 참 많네요. 넘감사드립니다
|
![]() |
|
|
|
![]() |